반응형 Operating System/Linux & Unix32 [LINUX] df 와 du의 용량이 다른 경우 ■ 디렉토리의 실제 사용 용량과 df 명령 또는 os에서 인식하는 사용량이 다른 경우 삭제 또는 종료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프로세스 상에서 아직 사용하고 있어 완전 삭제 또는 종료가 되지 않는 경우 발생 ▶ lsof 명령을 이용한 상태 점검 ]# lsof | grep deleted ]# lsof | grep delete | grep 750 (PID) java 750 root 1w REG 8,3 33488616351 4456468 /wologs/maillog/mail.log (deleted) java 750 root 2w REG 8,3 33488616351 4456468 /wologs/maillog/mail.log (deleted) java 750 root 66r REG 8,2 6514 3422132 /.. 2022. 10. 6. [AIX] 계정잠김 해제 ■ AIX 서버의 패스워드가 틀려 계정이 잠겼을 경우 해제 방법 raonyn's Password: There have been too many unsuccessful login attempts; please see the system administrator. 1. 방법1 ]# chsec -f /etc/security/lastlog -a "unsuccessful_login_count = 0" -s raonyn 2. 방법2 smitty user에서 fail count 초기화 및 lock false로 변경 2022. 10. 6. [AIX] 패스워드 정책 ■ AIX의 패스워드 정책 적용 1. /etc/security/user 파일에서 정의. : 기본은 default 탭에서 정의 하며 각각 계정은 별도로 설정 가능하며 개별 계정의 정책이 우선합니다. 예를 들어 default:: 에서 maxage = 8(패스워드 미변경 유지 8주)에서 설정 하였더라도 root: 에서 maxage = 0(매스워드 미변경 유지 영구)로 설정시 패스워드 만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. default: admin = false login = true su = true daemon = true rlogin = true sugroups = ALL admgroups = ttys = ALL auth1 = SYSTEM auth2 = NONE tpath = nosak umask = 022 expi.. 2022. 10. 6. [LINUX] 서버의 서비스 중인 프로세스 확인(netstat, ss) ■ Linux 서버의 서비스 중인(Listening) 서비스(Port) 확인 방법 2가지(netstat, ss) ▶ 내 서버에서 LISTEN 되고 있는 서비스와 해당 포트를 확인하고자 할 때 netstat 또는 ss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 1. 개요 1) netstat : Netstat prints information about the Linux networking subsystem : netstat는 리눅스 서버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 할때 주로 사용합니다. 라우팅 테이블, 네트워크 접속상태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2) ss (Socket Statistics) : ss is used to dump socket statistics. : ss는 소켓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도구로 netstat와 비.. 2022. 10. 6. [LINUX] Ubuntu 버전별 고정 IP(Static)설정 방법(CLI) ■ Ubuntu 고정 IP(Static)설정 방법(CLI) ■ Ubuntu 고정 IP(Static)설정 방법(CLI) ▶ 우분투(Ubuntu)라는 이름은 창업자 마크 셔틀워스의 고향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건국 이념인 우분투 정신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.(위키참고)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눅스 배포판입니다. ▶ Ubuntu의 IP설정, 그중에서 CLI 환경에서 고정IP(Static IP) 설정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이며 Ubuntu의 버전에 따라 상이합니다. ▶ 인터페이스(ethernet)의 이름은 사전에 아래 명령어로 확인이 가능 합니다. 1) ifconfig root@raonyn:~# ifconfig ens33: flags=4163 mtu 1500 inet 192.168.48.129 ne.. 2022. 10. 6. tcpdump tcpdump -i eth1 port 23 => interface eth1의 port 23번으로 들어오는 패킷들을 볼 수 있음. 많이 응용하면 유용하지롱..ㅡ.,ㅡ 2010. 11. 30.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