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Operating System42

[LINUX] FIND 명령 날짜 옵션 ■ FIND 명령으로 특정 날짜 파일 찾기 1. 옵션 1) 옵션의 종류 -atime : 열어본 시간 -ctime : 파일 정보 변경 시간 -mtime : 파일 내용 변경 시간 2) 값 +3 : 3일 이상 3 : 3일 -3 : 최근 3일까지 2. 예제 1) 현재 디렉토리에서 pattern으로 시작하는 파일 중에, 파일 내용이 변경된 시간이 60일이 지난 파일 삭제 ]# find ./ -name "pattern*" -mtime +60 -exec rm {} \; -exec 는 찾은 파일을 대상으로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고, {}는 검색 결과를 의미한다. exec 다음부터 ;까지 명령을 실행하며, ;의 앞의 \는 이스케이핑 문자 2) find 명령의 "or" 검색 하기 ]# find ./ -name "patter.. 2022. 12. 7.
[Windows] 윈도우 계정관리 명령어 ■ 윈도우 계정관리 명령어 ▶ 윈도우는 대부분 GUI로 계정관리를 하지만 명령어를 이용한 계정 관리가 필요할 때 참고하고자 작성했습니다. 1. 신규 계정 생성 명령 - net user newuser /add : newuser 계정을 생성합니다. (패스워드 없는 상태로 생성 됨) - net user newuser newpassword /add : 계정을 생성할 때 패스워드를 newpassword로 지정합니다. - net user newuser * /add : newuser 계정을 생성하면서 신규 패스워드를 입력받습니다. 2. 기존 계정 패스워드 변경 - net user olduser newpassword : olduser 계정의 패스워드를 newpassword로 변경합니다. - net user olduse.. 2022. 11. 25.
[Windows] 원격터미널 콘솔(admin) 접속 ■ Windows 원격터미널의 Admin 권한(콘솔) 접속 ▶ 원격터미널 접속시 채널이 다양한 관계로 콘솔화면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을 확인하지 못할 경우가 있습니다. 콘솔 화면 접속 방법은 아래와 같다. 1. 시작의 실행창 => mstsc /v ip /admin (or /console) 2. 원격프로그램창 => ip /admin (or /console) 2022. 11. 24.
[AIX] 계정의 패스워드 변경 일자 확인 ■ AIX 시스템의 계정 패스워드 변경일자 확인 방법 1. /etc/security/passwd 파일의 정보를 확인 ] cat passwd password = * berasix: password = X.fUuJm5bfdVk lastupdate = 1448584898 oracle: password = kKbL9ksbdzFC. lastupdate = 1453423298 2. perl 명령으로 lastupdate 값을 넣으면 변경된 날짜로 환산되어 표기 ] perl -le "print scalar localtime 1448584898" Fri Nov 27 09:41:38 2015 ] perl -le "print scalar localtime 1453423298" Fri Jan 22 09:41:38 2016 3.. 2022. 11. 16.
[LINUX] split 명령을 이용한 파일 분할 ■ Linux의 split 명령으로 대용량 파일을 분할합니다. 1. 테스트 파일 생성 [root@raonyn]# ls -l /usr/bin >> ./split_test 2. split 명령으로 파일을 라인 단위로 분할합니다.(-l 옵션은 1개 파일당 라인수) [root@raonyn]# split -l 500 split_test sp_test ex) split -l 1개파일 라인수 원본파일명 변경파일명 3. 결과는 변경파일명+aa,ab,ac 형태로 파일이 생성 됩니다. [root@raonyn]# ls -l 합계 11924 -rw-r--r-- 1 root root 34087 6월 19 09:49 sp_testaa -rw-r--r-- 1 root root 33655 6월 19 09:49 sp_testab -r.. 2022. 11. 1.
[LINUX] 원격 접속자의 명령어(shell command) 로그 남기기 ■원격 접속자의 명령어 로그 남기기(SYSLOG 기능으로 로그 남기기) 1. Ubuntu 1) 로그인 전체 적용(/etc/profile) - 개별 계정에 설정시 : ~/.bashrc 파일 root@berasix:~# vi /etc/profile .... # Setup history export CONN_IP=`who am i |cut -f 2 -d \(|cut -f 1 -d \)` function logging { stat="$?" cmd=$(history|tail -1) if [ "$cmd" != "$cmd_old" ]; then logger -p local1.debug "[1] PID=$$, PWD=$PWD, ID=$LOGNAME, IP=$CONN_IP, CMD=$cmd" fi cmd_old=$cmd.. 2022. 10. 25.
728x90